본문 바로가기

우리들의 것들

한글 그 우수함

 

 


 

중국인이 컴퓨터 자판을 치는 모습을 본다. 3만개가 넘는다는 한자를 어떻게 좁은 자판에서 칠까?
 한자를 자판에 나열하는게 불가능해 중국어 발음  먼저영어로 묘사(한어병음)해 알파벳으로 입력한다


 음에 단어다 입력 키를 눌러야 화면에서 한자로 바뀐다.
 불편한 건 더 있다. 같은 병음을 가진 글자가 20 개 정도는 보통이다. 그 중에서 맞는 한자를 선택해야 한다.


 한국의 인터넷 문화가 중국을 앞선 이유 하나가 여기에 있다. 타이핑을 많이 하는 전문직 중국인들은 한자의  
획과 부수를 나열한 또 다른 자판을 이용한다. 자판을 최대 다섯번 눌러 글자 하나가 구성되므로 오필자형(五筆字型)이라고 한다.


속도가 빠르지만 익히기 어려워 일반인은 못한다. 일본인은 어떨까. 컴퓨터 자판을 보니 역시 알파벳이다.
일본인들은 '世'를 영어식 발음인 'se'로 컴퓨터에 입력하는 방법을 쓴다. 각 단어가 영어 발음 표기에 맞게 입력돼야
화면에서 가나로 바뀐다.


게다가 문장마다 한자가 있어 쉼없이 한자 변환을 해줘야 하므로 속도가 더디다.
 나아가 '추'로 발음되는 한자만 해도 '中'을 비롯해 20개 이상이니 골라줘야 한다. 일본어는 102개의 가나를 자판에 올려
가나로 입력하는 방법도 있지만 익숙해지기 어려워 이용도가 낮다.


 이러니 인터넷 친화도가 한국보다 낮을 수 밖에 없는 것 같다 . 말레이시아처럼 언어가 여러 가지인 국가들은 컴퓨터 입력방식 개발부터 골칫덩어리다.  24개의 자음· 모음만으로 자판 내에서 모든 문자 입력을 단번에 해결할 수 있는 한글은 하늘의 축복이자 과학이다.


 휴대전화로 문자를 보낼 때 한글로 5초면 되는 문장을 중국, 일본문자는 35초 걸린다는 비교가 있다.
 한글의 입력 속도가 일곱배 정도 빠르다는 얘기다.  정보통신(IT)시대에 큰 경쟁력이다.
한국인의 부지런하고 급한 성격과 승부근성에, 한글이 '디지털  문자'로서 세계 정상의 경쟁력이 있는 덕에 우리가 인터넷
강국이 됐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한글로 된 인터넷 문자 정보의 양은 세계 몇 번째는 된다.  9일은 세종대왕이 한글을 반포한 한글날.
 세종이 수백년 뒤를 내다본 정보통신대왕이 아니었나 하는 감탄이 나온다.
 26개인 알파벳은 한글과 같은 소리문자이고 조합도 쉽지만  'a'라도 위치에 따라 발음이 다르고 나라별로 독음이 다른
단점이 있다.


 그러나 한글은 하나의 글자가 하나의 소리만 갖는다. 어휘 조합능력도 가장 다양하다. 소리 표현만도 8800여개
여서 중국어의 400여개,일본어의 300여개와 비교가 안 된다.  세계적 언어학자들은 한글이 가장 배우기 쉽고 과학적이어서
 세계 문자 중 으뜸이라고 말한다.


'알파벳의 꿈'이라고 표현한다.  그래서 거의 0%인 세계 최저의 문맹률이 가능했고 이게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었다. 한글은 발음기관의 모양까지 반영한  음성공학적 문자여서 세계의 언어를 다 표현해낸다.

 맥도널드를 중국은 '마이딩로우', 일본은 '마쿠도나르도'라고 밖에 표현하지 못한다.

 

 이것이 네팔 등의 문자가 없는 민족에게 한글로 문자를 만들어 주는 운동이 추진되는 이유다.
 외국인에게 5분만 설명하면 자신의 이름을 한글로 쓰게 할 수있다.  한글은 기계적 친화력도 가장 좋아 정보통신 시대의 준비된 문자다. 세계화의 잠재력이 적지 않다.

 아~~! 세종 IT 대왕님만세 !!!
 
 
---------------------------------------

  
  한국 정부(외교통상부) 지원으로 1989년에 제정돼 1990년부터 시상해오고 있는 상으로서, 문해, 특히 개발도상국 모어(母語) 발전·보급에 크게 기여한 개인/단체/기구 2명(곳)에게 매년(9월 8일 문해의 날) 시상한다.

후보는 유네스코 회원국 정부, 또는 유네스코와 공식 관계를 맺고 있는 국제 비정부기구들이 각 2명까지 추천할 수 있다.

수상자는 국제심사위원단의 추천으로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선정한다. 국제심사위원단은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세계 각 지역별로 안배해 임명한 문해 분야의 남·녀 저명인사 최소 5명으로 구성되며, 국제독서협회 문해상, 공자 문해상 국제심사위원단을 겸한다.

각 수상자에게 상금 미화 1만 5,000불과 상장, 세종대왕 은메달을 수여한다. 시상식은 9월8일 세계 문해의 날에 열린다. 2006년도 제17회 수상자로는 터키의 모자교육재단과 쿠바의 중남미·캐리비안 교육연구소가 선정됐다.


 
 수상대상
 
① 문맹퇴치사업에 직접 종사한 경우,
② 국가 또는 지역 단위의 문맹퇴치사업 종사,
③ 문맹퇴치를 위한 언론캠페인 종사,
④ 문맹퇴치를 위한 교육자재개발 생산,
⑤ 문맹퇴치관련 학술연구,
⑥ 문맹퇴치사업계획 수립 및 이를 위한 조사업무,
⑦ 청소년의 문맹퇴치사업 참여유도,
⑧ 문맹퇴치에 공이 있는 언론 등이다.

 

원문 : http://blog.daum.net/songthhhi - 일출님의 블로그에서 빌려온 글


 

'우리들의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 그리고 고향  (0) 2008.10.13
[스크랩] 흑미주(黑米酒)  (0) 2008.10.07
대한민국 담배의 변천  (0) 2008.09.24
순라길의 환생  (0) 2008.07.09
동양고전 읽기  (0) 2007.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