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와 예술 이야기

흉배 디자인

 

                                                                  단학 흉배

 

 

 

                                                                쌍학 흉배

 

 

 

                                                                 해태  흉배

 

 

                                                                  쌍호 흉배

 

 

 

                                                                   단호 흉배

 

 

 

                                                                   거북 흉배

 

 

 

                                                              금수오조원용보

                                                                   (왕비용)

 

                               위 자수 작품은 운현궁 내에서 전시 중에 있다.

 

조선의 흉배

 

조선의 흉배는 명나라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 흉배의 도입은 세종 때부터 논의되었는데, 우의정 하연과 우잠찬 정인지가 도입을 건의하였으나 영의정 황희가 검소하지 않음을 들어 반대하여 세종이 황희의 의견을 따랐다. 그러다 단종 때 검토관 양성지가 재건의하여 이를 제정하게 되었으며 그 지위나 품계(品階)에 따라 흉배에 수놓는 것이 달랐고, 이후 시대에 따라서도 달라졌다. 연산군 때 중국의 제도를 모방하여 흉배를 착용하는 품계와 흉배의 종류를 늘렸다가 영조 때 다시 흉배의 종류를 간소화하였고 이후 중국의 것과 다른 고유의 기법과 문양으로 독자적인 체계를 지니게 되었다.

왕족의 보(補)

왕과 왕비, 왕세자, 왕세손의 평상복인 곤룡포에는 용을 수놓은 흉배를 가슴과 등 그리고 양 어깨에 달았는데, 이를 보(補)라고 한다. 왕과 왕비는 발가락이 5개인 원형의 오조룡보(五爪龍補)를, 왕세자와 그 빈은 발가락이 4개인 원형의 사조룡보(四爪龍補)를, 그리고 왕세손은 발가락이 3개인 사각형의 삼조룡보(三爪龍補)를 사용하였다. 왕자와 대군의 보에는 기린을 넣기도 하였다.

문무관의 흉배

문무관의 흉배를 단종 때 처음으로 제정하기로는 문관 1품은 공작, 2품은 운안(雲雁, 구름과 기러기), 3품은 백한(白鷴, 꿩과 비슷한 새), 무관 1·2품은 호표(虎豹, 호랑이와 표범), 3품은 웅표(熊豹, 곰과 표범), 대사헌(大司憲)은 해치(獬豸, 해태) 등으로 하여 당상관의 품계에만 적용하던 것을 연산군 때 그 품계의 범위와 흉배의 종류를 늘려서 1품부터 9품까지 모든 신하가 흉배를 착용하도록 하고 돼지, 사슴, 거위 등을 추가하여 구분하도록 하였다. 이후 영조때 다시 그 단계를 간소화하여 당상은 학을, 당하는 백한을, 무신은 호표·웅비(곰)로 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