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들의 것들

술과 관련된 우리말

술과 관련되는 우리말

 

강술 : 안주없이 마시는 술. '깡술' '깡소주' 등은 올바른 표기가 아님.

 

강주정 : 일부러 취한 체하고 하는 주정

 

군치리 : 개장국을 안주로 하여 술을 파는 선술집

 

귀밝이술 : 음력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 귀가 밝아지라고 마시던 술

 

꽃국 : 빚어 담근 술이 익었을 때 박아 놓은 용수에서 첫 번으로 떠내는 맑은 술

 

다모토리 : 선술집에서 큰 잔으로 파는 소주

 

대포 : 선술집 같은 데서 신통찮은 안주로 사발들이로 마시는 술

 

밑술 : 송이 재강에 다시 물을 주어 거른 것

볏술 : 가을에 벼로 갚기로 하고 외상으로 먹는 술.

 

부좃술 : 잔칫집이나 초상집에 부조로 내던 술

 

선술 : 술집에 서서 간단히 마시는 술

 

성애술 : 물건을 사고 팔 때 흥정이 끝난 증거로 옆에 있는 사람들에게 대접하는 술.

 

소나기술 : 평소에는 잘 마시지 않다가 한번 입에 대면 정신없이 퍼마시는 것

 

송이재강 : 전국(군물을 타지 않은 술)만 떠내고 난 재강

 

술구더기 : 전국을 떠낸 술에 뜬 삭은 지에밥의 밥알

 

술잔거리 : 술 몇 잔정도 사먹을 수 있는 적은 돈

 

쓴술 : '멥쌀술'을 '찹쌀술'에 대하여 이르는 말

 

아랑주 : 소주를 고고 난 찌꺼기를 '아랑'이라 하며, 그 아랑만으로 다시 고아 만든 질이

낮고 독하기만 한 소주

 

억병 : 술을 엄청나게 마신 양, 또는 그렇게 마셔 엉망으로 취한 상태

 

용수 : 술이나 장 따위를 거르는 데 쓰는 기구로, 싸리나 대오리 따위로 둥글고 깊게 통처럼 만듦

 

용수뒤 : 술독에 용수를 박아 전국을 떠낸 뒤의 찌끼술을 말함.

 

재강 : '지게미'라고도 하며, 술을 밭고 나면 남는 술찌꺼기. '술비지'라고도 함.

 

전내기 : 애벌 걸러 물을 전혀 타지 않은 술.

 

지게미 : 술을 거르고 남은 찌끼

 

진서술 : 전라도 일부 지방에서, 자기집 머슴을 위하여 주인이 부모 대신 관례를 행할 때 쓰는 술.

 

풋술 : 맛도 모르면서 마시는 술

 

 

 

(우리말 사랑 누리집)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