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죽장갑을 끼고 다니지 않은 지가
하도 오래되어서 기억도 나지 않는다. 물론 내복도 입지 않은 지가 언제인지 기억이 없는데 아마도 20년은 넘은 것 같다. 아무튼 오래 전부터 내복과 장갑은 나와는 거리가 먼 악세서리에 불과하였다. 내복을 입지 않아도 춥지 않았고 장갑을 끼지 않고 다녀도 손이 곱거나 얼지 않았다. 주요한 원인은 지구 온난화가 될 것이고 내가 추위를 많이 타지 않는 건강체질이었다는 생각이다. 장갑을 끼지 않고 다니다 보니 오래전에 사 두었던 밤색 가죽장갑이 가끔씩 눈에 띄다가 며칠 전 찾으려고 하니 아예 보이지도 않았다. 내복도 오래 전 입었던 것들은 이미 버린지가 오래 되었다. 언제부터인지 내복을 입지 않는 것이 신사의 기본이라는 말이 있었고, 지구가 따뜻해지고 자가용을 가지고 다니던 그 시절부터 내복의 필요성이나 장갑의 효용성이 떨어졌고 그 때부터 내복을 입지 않고 장갑을 끼지 않고 겨울을 지내온 것 같다. 그런데 2009년, 특히 이번 주에는, 예전같지 않게 강추위가 장기화되면서 갑자기 손장갑과 아랫도리 내복이 필요할 것 같은 생각이 문득 들었다. 마침 월요일 아내와 함께 백화점에 갔을 때 장갑을 샀고 화요일부터는 새 장갑을 계속 끼고 다니면서 잊고 살았던 가죽장갑에 대한 효용성과 고마움을 새삼스럽게 느끼고 있다. 그리고 오늘 아침 영하 8.8도의 바람까지 부는 날씨에 아침 6시 새벽운동을 나갔는데 찬 바람이 살 속까지 냉기를 전하는 것을 느끼면서 이렇게 계속 이번 겨울이 춥다면 벗어 던졌던 내복이나 롱 타이즈라도 입고 운동을 해야 할 것 같다 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그런데 장갑이나 내복을 착용하다 보면 따뜻함에 익숙해져서 내 몸의 추위에 대한 내성이 약해지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있다. 20여년 계속 고수해 온 무 내복과 무 장갑 겨울나기의 오랜 전통이 올 겨울에 깨질 것인지... 궁금해진다. 2009년 씀 |
호운이야기